본문 바로가기
주식

골든크로스(Golden Cross)와 데드크로스(Dead Cross)를 판단할까? (feat . 일봉)

by 9군 2025. 3. 23.
반응형

보통은 "일봉"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

기준 설명
일봉 차트 하루에 하나의 봉이 생성되는 차트.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은 일봉 기준으로 진행됨.
5일선, 20일선, 60일선, 120일선 모두 일봉 기준의 이동평균선이에요. 예: 20일선 = 최근 20거래일(약 한 달) 평균 주가.
골든/데드 크로스 판단 시 보통 5일선과 20일선 or 20일선과 60일선 간의 교차를 봅니다.

📊 그럼 다른 봉(주봉, 월봉)은 안 보나요?

아니요, 장기 투자자나 흐름 판단용으로는 주봉·월봉도 사용합니다.

봉 종류 특징 사용 목적
일봉 하루 단위 변화 단기 매매, 주요 신호 포착
주봉 1주일 단위 (5거래일) 중기 추세 확인, 노이즈 줄임
월봉 1개월 단위 장기 추세 판단, 투자 방향성 설정

📌 예시: 삼성전자 골든크로스 (일봉 기준)

  • 5일선이 20일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
    단기 상승 시그널, 매수 신호로 해석
    → 거래량 증가 동반 시 신뢰도 상승
  • 1. 이동평균선(MA: Moving Average) 이해하기
    • 정의: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선으로 나타낸 것.
    • 종류:
      • 단기 이동평균선: 일반적으로 5일, 20일 등을 사용하며, 최근 주가 변동을 빠르게 반영.
      • 장기 이동평균선: 60일, 120일 등을 사용하며, 장기적인 주가 흐름을 나타냄.
    2. 골든크로스(Golden Cross)와 데드크로스(Dead Cross)
    • 골든크로스: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는 현상으로,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의 시작을 의미하는 매수 신호로 해석됩니다.
    • 데드크로스: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돌파하는 현상으로, 일반적으로 하락 추세의 시작을 의미하는 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.
    3. 삼성전자 차트에서의 예시
    • 골든크로스 예시:
      • 상황: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.
      • 해석: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이 발생하여 매수 기회로 볼 수 있음.
    • 데드크로스 예시:
      • 상황: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돌파.
      • 해석: 단기적인 하락 모멘텀이 발생하여 매도 또는 관망의 신호로 볼 수 있음.
    4. 주의사항
    • 신호의 신뢰성: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추세 전환의 신호로 사용되지만, 모든 경우에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. 특히 횡보장이나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거짓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  • 추세의 강도 확인: 골든크로스 발생 시 거래량이 함께 증가하면 상승 추세의 신뢰성이 높아집니다. 반대로 데드크로스 발생 시 거래량 증가가 동반되면 하락 추세의 신뢰성이 높아집니다.

✅ 실전 팁

  • 단타/스윙 투자자: 일봉 기준 크로스 활용
  • 중기/장기 투자자: 주봉이나 월봉 크로스 확인 → 더 강력한 시그널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