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대출을 받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"어떤 방식으로 상환할 것인가" 입니다.
대표적인 대출 상환 방식으로는 만기 일시상환, 원금 균등 상환, 원리금 균등 상환이 있으며,
각 방식마다 장단점이 다르므로 본인의 재정 상황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오늘은 대출 상환 방식의 개념, 공식, 계산 예시, 그리고 장단점 비교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만기 일시상환 (Bullet Payment, 일시상환)
📌 개념
- 대출 기간 동안 매월 이자만 납부하다가, 만기에 원금을 한꺼번에 상환하는 방식입니다.
- 초기 부담이 적지만, 만기 시 목돈을 한 번에 갚아야 한다는 부담이 큽니다.
📌 계산 공식
월 이자 = 대출 원금 × 대출 금리 ÷ 12개월
총 상환액 = (월 이자 × 대출 기간) + 원금
📌 예제 계산
- 대출 금액: 1억 원
- 대출 금리: 연 5%
- 대출 기간: 5년(60개월)
📍 매월 이자 납부 금액
1억 원 × 5% ÷ 12 = 41만 6,667원
📍 총 상환 금액
(41만 6,667원 × 60개월) + 1억 원 = **1억 2,500만 원**
📌 장단점
✅ 장점
- 매월 이자만 납부하므로 초기 부담이 적음
- 대출금을 투자하여 운용할 수 있는 경우 유리
❌ 단점
- 만기 시 목돈을 한 번에 갚아야 하는 부담
- 원금이 줄어들지 않아 이자 부담이 크다
2. 원금 균등 상환 (Principal Equal Payment, 원금균등분할상환)
📌 개념
- 원금을 매월 동일한 금액으로 나눠 갚고, 이자는 남은 원금에 대해 계산하여 납부하는 방식입니다.
- 원금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이자 부담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장점이 있습니다.
📌 계산 공식
월 원금 상환액 = 대출 원금 ÷ 대출 기간(개월 수)
월 이자 = 남은 원금 × 대출 금리 ÷ 12개월
총 상환액 = 원금 + 총 이자
📌 예제 계산
- 대출 금액: 1억 원
- 대출 금리: 연 5%
- 대출 기간: 5년(60개월)
📍 첫 달 상환액 계산
- 원금 상환액:
1억 원 ÷ 60개월 = 166만 6,667원
- 첫 달 이자:
1억 원 × 5% ÷ 12 = 41만 6,667원
- 첫 달 총 납부액:
166만 6,667원 + 41만 6,667원 = 208만 3,334원
📍 마지막 달 상환액 계산
- 원금 상환액: 166만 6,667원(변동 없음)
- 마지막 달 이자: 0원 (원금이 전부 상환됨)
- 마지막 달 총 납부액: 166만 6,667원
📌 장단점
✅ 장점
- 원금을 일정하게 갚아나가므로 이자 부담이 점점 줄어듦
- 만기 시 큰 금액을 한 번에 갚을 필요 없음
❌ 단점
- 초기 월 상환액이 높아 부담이 클 수 있음
3. 원리금 균등 상환 (Equal Installment Payment, 원리금균등분할상환)
📌 개념
- 원금과 이자를 합한 총 상환액이 매월 동일하도록 나누어 갚는 방식입니다.
- 매달 같은 금액을 납부하므로 예측 가능성이 높고, 가계부담이 일정합니다.
📌 계산 공식
월 상환액 = (대출 원금 × 월 이자율) ÷ (1 - (1 + 월 이자율)^-개월 수)
📌 예제 계산
- 대출 금액: 1억 원
- 대출 금리: 연 5% (월 0.4167%)
- 대출 기간: 5년(60개월)
📍 매월 상환 금액 계산
월 상환액 = (1억 원 × 0.4167%) ÷ (1 - (1 + 0.4167%)^-60)
≈ **188만 7,139원**
📌 장단점
✅ 장점
- 매월 일정한 금액을 납부하므로 예측 가능성이 높음
- 초기 상환 부담이 원금 균등 상환보다 낮음
❌ 단점
- 원금 균등 상환보다 총 이자 부담이 크다
4. 대출 상환 방식 비교 표
구분 | 만기 일시상환 | 원금 균등 상환 | 원리금 균등 상환 |
원금 상환 방식 | 만기 시 한꺼번에 상환 | 매월 일정 금액 상환 | 매월 원금+이자 일정 금액 상환 |
초기 부담 | 낮음 | 높음 | 중간 |
총 이자 부담 | 가장 큼 | 가장 적음 | 중간 |
만기 부담 | 큼 (한 번에 상환) | 없음 | 없음 |
적합한 경우 | 단기 투자자, 유동성 확보 필요 시 | 이자 절감 목표 | 예측 가능한 상환 계획 필요 시 |
5. 어떤 대출 상환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?
📌 초기 부담이 적은 방식이 필요하다면 → 만기 일시상환
📌 총 이자 비용을 줄이고 싶다면 → 원금 균등 상환
📌 매월 같은 금액을 갚으며 안정적으로 상환하고 싶다면 → 원리금 균등 상환
각 방식은 개인의 소득, 재정 계획, 대출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.
🏡 대출을 계획 중이라면, 상환 방식을 꼼꼼히 따져보고 본인에게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세요!
반응형
'대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은행 신용대출 갈아타기 후기 💰 (0) | 2025.03.09 |
---|---|
대출금리 산정 방식, 어떻게 결정될까? (0) | 2025.02.02 |
대출 갈아타기(대환대출) 완벽 가이드: 금리 인하로 이자 절약하는 방법 (2) | 2025.02.01 |
대출 인지세란? 인지세 개념부터 금액 및 납부 방법까지 총정리 (0) | 2025.01.30 |
대출 필수 용어 정리: LTV, DTI, DSR 차이와 계산 방법 (1) | 2025.01.30 |